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글

추석명절 차례의절차.풍속 추석음식에대해서

우리 민족은 세계 여느 민족에서도 찾아보기 드물게 사시사철 절기마다 독특한 풍속을 형성하였다. 절기의 풍속을 형성하고 후대에 전하며, 그 과정에서 대동단결하고 정서적 순화를 꾀하는 슬기와 지혜를 함께 익혔다고 할 수 있다. 3대 명절인 설, 단오, 추석에도 이 시기에 맞는 다양한 풍속이 아직까지 전해 오고 있다.

 

우리 민족은 세계 여느 민족에서도 찾아보기 드물게 사시사철 절기마다 독특한 풍속을 형성하였다. 절기의 풍속을 형성하고 후대에 전하며, 그 과정에서 대동단결하고 정서적 순화를 꾀하는 슬기와 지혜를 함께 익혔다고 할 수 있다. 3대 명절인 설, 단오, 추석에도 이 시기에 맞는 다양한 풍속이 아직까지 전해 오고 있다.

 

한가위 날 아침 일찍 일어나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차례를 지내는 일이다.

추석 차례상은 설과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술을 빚으며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지낸다

 

추석의 유래

추석은 한가위 또는 중추절이라고도 한다. [예기(禮記)]의 ‘조춘일 추석월(早春日 秋夕月)’에서 나왔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 중추, 종추 3달로 나누어 8월이 그 가운데 들어서 붙인 이름이다. 한가위, 즉 가윗날의 유래는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뉘고 왕녀(王女) 2인이 각부를 통솔하여 무리를 만들고 7월16일부터 길쌈을 하여 8월15일 그 성과를 살펴 진 편이 술과 음식을 내놓아 이긴 편을 축하고 가무(歌舞)와 놀이로 즐겼으며 이를 ‘가배(嘉俳)’라 하였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으로 8월15일이 우리의 대표적인 만월 명절이기 때문에 붙여졌거나, 오곡백과가 풍성하여 일년 가운데 가장 넉넉한 때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라고 여겨진다.

 


추석의 풍속

한가위가 되면 아침저녁으로 기후가 쌀쌀해지므로 사람들은 여름옷에서 가을옷으로 갈아 입는다. 그래서 한가위에 입는 새 옷을 추석빔이라고 하기도 한다. 옛날 머슴을 두고 농사짓는 집에서는 머슴들까지도 한가위에 새 옷을 한 벌씩 해 주었다. 한가위 날 아침 일찍 일어나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차례를 지내는 일이다. 차례상은 설과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술을 빚으며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낸다. 차례를 지낸 뒤 음복을 하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는데, 한가위에 앞서 미리 갈아놓은 낫으로 벌초를 한다. 한편 지금은 잊혀져 가는 풍속이지만 예전에는 ‘반기’가 있다. 옛날에는 사방 한 뼘 크기의 목판이 집집마다 수 십 개씩 있었다. 바로 명절 때 반기(음식을 나누는 것)를 하기 위한 ‘반기나무접시’이다. 집집마다 정성껏 차린 시절음식들을 예쁘게 담아 어린이들이 분주히 오갔다. 이날에는 시집간 딸이 친정어머니와 중간지점에서 만나 반나절을 함께 회포를 풀고 가져온 음식을 나눠 먹으며 즐겼는데 이를 중로상봉(中路相逢), 즉 ‘반보기’라 하였다.

 

 

차례 상차림

차례음식은 기제사(忌祭祀)와 거의 같지만, 명절 계절 특식을 천신하는 제례여서 제사밥(메)과 제사국(갱)을 올리지 않고 그 자리에 송편을 올린다. 따라서 추석에는 시접에 숟가락은 담지 않고 젓가락만 담는다. 진설 방법은 각 가정이나 지방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과실류의 진설에 있어서 ‘예서’에는 남쪽 끝 줄에 올린다고만 되어 있을 뿐 그 순서를 밝히지 않아 이설이 분분하다.

 

[진설 방법]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은 머리를 동쪽, 꼬리를 서쪽에 놓는다.
좌포우해(左脯右醢): 외쪽에 포를, 오른쪽에 생선젓을 놓는다.
고서비동(考西妣東: 신위와 송편 및 술잔은 아버지가 서쪽, 어머니가 동쪽이다.
적전중앙(炙奠中央): 적은 잔을 올릴 때마다 바꿔 올리는 제수의 중심음식이므로 제상의 중앙(제3열)을 놓는다.

 

[과실류의 진설]
동조서율(東棗西栗): 대추는 동쪽에 놓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동서조율을 전제로 한 방법. 동쪽으로부터 대추, 감, 사과의 순으로 붉은 과실을 놓고 서쪽으로부터 밤, 배의 순으로 흰 과실을 놓으며 중간에는 조과를 놓아 색깔의 현란함을 피한다.

 

 

차례 상차림

 

 

 

차례의 절차

(1) 재계(齋戒): 근신하고 목욕재계하며 안팎을 깨끗이 청소한다.
(2) 설위, 진기(設位, 陳器): 차례 지낼 곳의 위치를 정하고 기구를 배설한다.
(3) 수축(修祝): 평소에 신주가 안 계시면 지방으로, 축문을 읽을 예정이면 축문을 쓴다(명절에 는 대부분 축문을 읽지 않는다).
(4) 척기, 구찬(滌器, 具饌): 제기를 닦고 제수를 마련해서 큰 상에 차린다.
(5) 변복취위(變服就位): 자손들이 옷을 챙겨 입고 정한 위치에 선다.
(6) 설소과주찬(設蔬果酒饌):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먼저 차린다.
(7) 신위봉안(神位奉安): 윗대부터 차례로 교의 위에 신위를 모신다.
(8) 분향(焚香): 제주가 읍하고 끓어 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재배한다.
(9) 강신(降神): 제주가 읍하고 끓어 않아 집사가 강신잔에 따라 주는 술을 모사기에 세 번 나누어 모두 지우고 재배한다.
(10) 참신(參神): 제주를 비롯한 모든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한다.
(11) 진찬(進饌): 적과 함께 식어서는 안될 모든 제수를 윗대 제상부터 차례로 올린다.
(12) 헌작, 유식(獻爵, 侑食): 제주가 주전자를 들어 윗대 고위의 잔부터 아랫대 비위의 잔까지 차례로 따른다. 주부는 젓가락을 송편에 차례로 걸쳐 놓고, 주인은 재배하고 주부는 4배한다.
(13) 낙시저(落匙著): 7~8분간 조용히 시립해 서 있다가 주부가 윗대 고위부터 차례로 젓가락을 내려 시접에 담는다.
(14) 사신(辭神): 모든 자손이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 한다.
(15) 납주(納主): 신위를 원래 자리로 모신다. 지방이 있으면 태워서 재를 향로에 담고, 축문을 읽었으면 축문도 태워 재를 향로에 담는다.
(16) 철찬(撤饌): 제례음식을 제상에서 내린다.
(17) 음복(飮福): 자손들이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유덕을 기린다.

 

 

추석의 놀이

한가위에는 마음과 곡식이 풍요하여 여러 놀이를 즐겼다. 특히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등지에서는 거북놀이와 소놀이를 많이 했다.

 

 

한가위 민속놀이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강강술래와 줄타기 모습

 

 

 

거북이 놀이: 수수잎을 따 거북이 등판처럼 엮어 이것을 등에 메고 엉금엉금 기고 보면 영락없는 거북이 형상이다. 거북이는 용왕의 아들이요, 용은 비를 내리게 하는 영물이니 봉사와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이 거북이를 앞세우고 우스꽝스런 어릿광대들이 줄줄이 따르고 풍물패가 흥취를 돋우면서 집집을 방문한다.

 

소놀이: 두 사람이 멍석을 쓰고, 앞 사람은 방망이를 두 개 들어 뿔로 삼고 뒷사람은 새끼줄을 늘어뜨려 꼬리를 삼아 농악대를 앞세우고 이 집 저 집 찾아 다닌다. 일행을 맞이하는 집에서는 많은 음식을 차려 일행을 대접한다. 마당에서 술상을 벌이고 풍물을 치고 춤을 추면서 한 때를 즐긴다. ‘양주소놀이굿’과 ‘황해도평산소놀이굿’은 중요무형문화제 제70호와 제90호로 지정되어 있다.

 

강강술래(중요무형문화재 제8호): 한가위 민속놀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손에 손을 잡고 둥근 달 아래서 밤을 세워 돌고 도는 강강술래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서로 손을 마주잡고 둥그렇게 원을 지어 노랫가락에 맞추어 돌아가며 춤을 춘다. 처음에는 느린 가락인 진양조에 맞추어 춤을 추다가 점점 도는 속도를 빨리 하여 춤을 추게 된다. 이 때 앞소리꾼이 노래를 부르면 다른 사람들은 ‘강강술래’하며 뒷소리를 받는다. 강강술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이들 놀이 외에 줄다리기와 씨름 그리고 활쏘기도 하였다.

 


추석의 음식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은 송편이다. 햅쌀로 만든 송편은 ‘오려송편’이라 한다. 토란탕과 밤단자, 닭찜, 화양적, 누름적, 배화채와 배숙 등도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하지만 산업사회로 들어서면서 이러한 풍속은 많이 사라졌고, 가정이나 지방에 따라 부분적으로만 남아 있어 접하기가 쉽지 않다.

 

 

 

우리 민족은 세계 여느 민족에서도 찾아보기 드물게 사시사철 절기마다 독특한 풍속을 형성하였다. 절기의 풍속을 형성하고 후대에 전하며, 그 과정에서 대동단결하고 정서적 순화를 꾀하는 슬기와 지혜를 함께 익혔다고 할 수 있다. 3대 명절인 설, 단오, 추석에도 이 시기에 맞는 다양한 풍속이 아직까지 전해 오고 있다.

우리 민족은 세계 여느 민족에서도 찾아보기 드물게 사시사철 절기마다 독특한 풍속을 형성하였다. 절기의 풍속을 형성하고 후대에 전하며, 그 과정에서 대동단결하고 정서적 순화를 꾀하는 슬기와 지혜를 함께 익혔다고 할 수 있다. 3대 명절인 설, 단오, 추석에도 이 시기에 맞는 다양한 풍속이 아직까지 전해 오고 있다.

우리 민족은 세계 여느 민족에서도 찾아보기 드물게 사시사철 절기마다 독특한 풍속을 형성하였다. 절기의 풍속을 형성하고 후대에 전하며, 그 과정에서 대동단결하고 정서적 순화를 꾀하는 슬기와 지혜를 함께 익혔다고 할 수 있다. 3대 명절인 설, 단오, 추석에도 이 시기에 맞는 다양한 풍속이 아직까지 전해 오고 있다.